본문 바로가기

개발이야기/ETC

윈도우10 서비스 종료, 이제는 윈도우11로 갈아탈 때입니다!

728x90
반응형

윈도우10 서비스 종료, 지금 알아야 할 모든 것

서비스 종료 이후 윈도우10 사용 시 문제점

종료이후 사용시 문제점은 단순히 기능 업데이트가 중단되는 차원을 넘어, 보안, 호환성, 유지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보안 위협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보안 업데이트를 통해 매달 새로운 위협 요소를 차단하는데, 서비스 종료 이후에는 이러한 패치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이는 해커나 악성코드 제작자에게 매우 유리한 환경이 됩니다. 기존의 알려진 취약점을 통해 공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취약점은 영구적으로 노출된 상태가 됩니다. 특히 온라인 금융, 기업 정보 시스템, 공공기관에서 윈도우10을 계속 사용하는 것은 심각한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입니다. 최신 프로그램은 점차 윈도우10 지원을 종료하게 되며, 특히 Adobe, AutoDesk, Microsoft Office 등 주요 소프트웨어 업체들은 윈도우11에 최적화된 제품만 출시하게 됩니다. 새로운 프린터, 그래픽카드, 저장장치 등과의 드라이버 호환성 문제도 빈번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객 지원 부재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기술지원이나 커뮤니티 지원이 종료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겨도 해결책을 얻기 어렵습니다. 이는 업무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윈도우11이 더 좋은 점

 

윈도우11이 더 좋은점은 디자인 개선을 넘어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의 질을 높이고, 성능과 보안 기능까지 전방위적으로 향상되었다는 점입니다.

 

첫째,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전면 개편이 이루어졌습니다. 작업표시줄이 중앙 정렬되며 Mac OS 스타일의 깔끔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새로운 시작 메뉴는 광고와 추천 앱이 줄어들어 직관적인 구조를 갖추었습니다. UI 전환이 부드럽고 애니메이션이 추가되어 시각적인 피로도가 줄어든 것도 장점입니다.

 

둘째, 멀티태스킹 능력이 크게 강화되었습니다. 스냅 레이아웃(Snap Layouts) 기능을 통해 여러 개의 창을 정렬하는 기능이 강화되었고, 외부 모니터를 사용 시 창의 위치를 기억하는 ‘스냅 그룹(Snap Groups)’ 기능도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재택근무나 다중 작업 환경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셋째, 보안 기능의 비약적인 발전입니다. 윈도우11은 기본적으로 TPM 2.0 보안 칩과 보안 부팅(Secure Boot)을 필수로 요구합니다. 또한 Microsoft Pluton 보안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해 하드웨어 차원의 보안이 강화되었습니다. 비트락커(BitLocker)를 통한 디스크 암호화도 기본 탑재되어 있습니다.

 

넷째, 성능 개선입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작업 속도 및 배터리 수명이 개선되었으며, DirectStorage, AutoHDR 등의 게이밍 기술이 기본 적용되어 게임 성능도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윈도우11 단점

 

윈도우11 단점도 명확히 존재하며, 사용자에 따라 그 영향은 크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높은 하드웨어 요구사항입니다. 많은 구형 PC와 노트북은 TPM 2.0, Secure Boot, UEFI와 같은 필수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 윈도우11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수많은 사용자들이 기기 교체 또는 수동 설치(우회 설치)를 강요받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UI에 대한 적응이 필요합니다. 시작 메뉴나 작업 표시줄의 변경은 기존 사용자의 작업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작업표시줄을 상단이나 좌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이 사라진 것도 불편함으로 작용합니다. 알림 센터, 위젯 기능 등도 아직은 다소 미완성된 모습입니다.

 

성능 면에서도 초기에는 많은 버그가 보고되었습니다. 윈도우11 초기 릴리즈 버전에서는 메모리 누수, 블루투스 오류, 게임 프레임 저하 등의 이슈가 발생했으며, 현재는 대부분 해결되었지만 안정성 측면에서는 윈도우10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남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호환성 문제입니다.

 

일부 레거시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는 윈도우11에서 정상 작동하지 않으며, 구형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의 드라이버가 공식 지원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는 특히 기업 환경에서 비용 증가와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종료 이후 윈도우10 업데이트

 

서비스정료이후 윈도우 10 업데이트는 공식적으로 중단됩니다. 이는 기능 업데이트뿐만 아니라 보안 업데이트까지 포함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일반적으로 10년 주기의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으며, 윈도우10은 2015년 7월 출시 이후 2025년 10월 14일부로 ‘확장 지원’ 단계까지 종료됩니다. 이후에는 보안 패치조차 제공되지 않으며,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도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습니다.

 

일부 기업 고객을 위한 유료 연장 지원(Extended Security Updates, ESU)은 제공될 수 있지만, 이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적용되지 않으며, 가격도 상당히 높아 대중적인 선택지는 아닙니다. 따라서 홈 사용자 및 소규모 사업자는 윈도우11로의 전환이 사실상 유일한 대안입니다.

 

업데이트가 중단되면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감염 가능성이 급증하며, 이는 데이터 손실, 금전 피해,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 뱅킹, 이메일, 온라인 결제를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윈도우11 업데이트 방법

 

윈도우11 업데이트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자동 업데이트를 통한 업그레이드와 수동 설치 방식입니다.

 

가장 간편한 방법은 윈도우10 내의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윈도우 업데이트’에서 ‘윈도우11 설치 준비 완료’ 메시지가 나타났을 때 지시에 따라 설치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시스템 사양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기존 데이터를 유지한 채 업그레이드가 완료됩니다.

 

만약 자동 설치 알림이 뜨지 않는다면,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도우미(Installation Assistant)’를 다운로드하여 수동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는 ‘미디어 생성 도구(Media Creation Tool)’를 통해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들어 클린 설치도 가능합니다.

 

단, 이 모든 과정은 사전에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한 뒤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치 중 문제가 생길 경우, 데이터 손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BIOS에서 TPM 2.0과 Secure Boot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제조사 별 BIOS 접근 방법을 참고해야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 업데이트 권장 사양

 

윈도우11 업데이트 권장사양을 충족하지 않으면 설치 자체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11을 ‘최신 하드웨어 환경’에 맞춘 운영체제로 설계했기 때문에, 하드웨어 호환성 확인이 필수입니다.

기본적인 최소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 1GHz 이상의 듀얼 코어 64비트 CPU (인텔 8세대 이상 또는 AMD Ryzen 2000 이상)
  • 4GB 이상의 RAM
  • 64GB 이상의 저장 공간
  • TPM 2.0 보안 칩 지원
  • UEFI 기반의 보안 부팅 기능
  • DirectX 12를 지원하는 GPU와 WDDM 2.0 드라이버

 

그러나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는 8GB 이상의 RAM, SSD 저장 장치, Full HD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갖춘 시스템을 권장합니다. 특히 그래픽 작업, 게임, 영상 편집 등을 수행하는 사용자라면 16GB 이상의 메모리와 고성능 GPU가 필수적입니다.

자신의 시스템이 해당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려면, 마이크로소프트의 ‘PC 상태 검사 도구’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도구는 자동으로 시스템을 분석하여 윈도우11 설치 가능 여부를 알려줍니다.

결론: 지금이 바로 전환을 준비할 때

윈도우10의 서비스 종료는 단순한 운영체제의 변화가 아닌, 보안과 기능, 효율성에서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사용자는 현재 사용 중인 기기의 사양을 확인하고, 윈도우11로의 원활한 업그레이드를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기업 및 공공기관은 윈도우10 지속 사용으로 인한 보안 리스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 윈도우10 서비스 종료 이후, 보안 업데이트가 중단되어 해킹 및 바이러스에 취약해집니다.
  • 윈도우11이 더 좋은점은 UI, 보안, 성능 전반에서의 업그레이드이며, 최신 환경에 적합한 운영체제입니다.
  • 윈도우11 업데이트 권장사양을 사전에 점검하고, 설치 도우미를 통해 안전하게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