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나노 시대의 포문을 열다
삼성전자가 2나노(1㎚=10억분의 1m) 공정이 적용된 차세대 모바일 칩셋 '엑시노스 2600'의 양산을 오는 11월로 확정했습니다. 이는 한진만 사장이 파운드리 사업부를 맡은 지 단 4개월 만에 이뤄낸 성과로, 반도체 업계는 이 일정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한 사장은 취임 직후부터 수율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으며, 생산라인 점검과 영업 전략 재정비를 통해 기술 경쟁력 강화에 힘써왔습니다. 그 결과, 삼성전자의 2나노 공정이 실제 시장에 적용되는 첫 제품이 드디어 모습을 드러냅니다.
2나노 공정과 GAA 기술의 결합, 그 의미는?
삼성전자의 2나노 공정에는 차세대 반도체 구조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Gate-All-Around) 기술이 적용됩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트랜지스터를 네 면에서 감싸는 구조로, 기존 핀펫(FinFET) 기술보다 전력 효율과 성능이 뛰어납니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3나노 GAA 공정 양산에 성공한 이력이 있지만, 낮은 수율로 실적에 아쉬움을 남긴 바 있습니다. 이번 2나노 양산에서는 기술 완성도와 생산 안정성을 동시에 입증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글로벌 전략 전환, 시장 다변화로 돌파구 마련
과거에는 북미 중심의 빅테크 기업 위주로 수주 활동이 이뤄졌다면, 한진만 사장 체제 하에서는 중국, 인도, 유럽 등 다양한 지역으로 디자인하우스 파트너를 확대하며 수주 전략이 대폭 수정되었습니다.
성숙 공정 수주 확대를 통해 공장 가동률을 높이고, 선단 공정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복합 전략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파운드리 사업의 고정비 절감과 더불어 수익성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엑시노스 2600, 갤럭시 S26의 핵심으로
오는 2025년 1분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 S26에 엑시노스 2600이 탑재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2나노 기술력과 양산 능력을 실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입니다.
만약 엑시노스 2600이 성공적으로 출시된다면, 2나노 공정의 안정성을 입증하고 외부 고객사를 유치하는 데 있어 강력한 레퍼런스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TSMC와의 경쟁에서 중요한 반전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론: 파운드리 판도 바꾸는 삼성의 승부수
삼성전자가 2나노 공정으로 다시 한 번 기술 리더십 확보에 나섰습니다. 엑시노스 2600의 성공적인 양산은 단순한 제품 출시를 넘어, 삼성 파운드리의 경쟁력과 미래 가능성을 보여주는 분기점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삼성의 2나노 기술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어떤 평가를 받을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떤 외부 고객사들을 유치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삼성전자 #2나노 #엑시노스2600 #반도체GAA기술 #파운드리전쟁
'개발이야기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환급금을 회사가 안 줄 때 ( 받는 방법 ) (1) | 2025.04.11 |
---|---|
정수기 렌탈, 생수보다 현명한 선택인 이유 5가지 (1) | 2025.04.04 |
iPhone 17 Pro, 차원이 다른 성능! 갤럭시 S25보다 훨씬 우수한 칩 탑재 예정? (2) | 2025.04.03 |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과 최신 트렌드 (0) | 2024.01.18 |
커리어 변화의 시작점: 부트캠프에서 배울 수 있는 모든 것 (0) | 2024.01.18 |